출판사 곳간3 어느새 오솔길에 들어선 모두―113번째 <문학의 곳간> 뒷이야기글 비, 상현, 아름, 승리, 지원 그리고 대성. 이렇게 여섯이서 113번째 을 열었다. 비는 이 모임을 시작했던 2013년 7월부터 지금까지 계속 함께다. 에 비가 없으면 뭔가 이상하다. 상현은 2021년 이맘때부터 모임을 함께 열고 있는데, 아주 오래전부터 오가던 이 같다. ‘숨 쉴 틈’을 찾아 에 온다는 아름은 2018년 (권여선) 모임에 첫 걸음을 했고 이어서 으로 미끄럼을 타듯 즐겁게 넘어왔다. 승리는 2023년 화명동 ‘무사이’에서 열었던 글쓰기 모임에 이어 매달 빠짐없이 을 함께 열고 있다. 지원은 진주에서 열었던 글쓰기 모임, 그 모임을 바탕으로 함께 펴낸 『살림문학』과 이어져 작년 12월에 첫(큰!) 걸음을 한 후, 이달에도 합천에서 차를 타고 먼 걸음을 해주었다. ‘우린’ 꽤나 오래 만난 .. 2025. 5. 13. 2025년 상반기 문학의 곳간│이제 다른 춤을 추자 작은이들이 모여 작은 자리를 내어놓고, 작은 목소리로 이야기를 잇는, 작은 모임 .2025년 상반기 을 펼칩니다.봄부터 여름까지 다섯 갈래로 나뉜 오솔길을 걸으며 는 이야기를 잇습니다.🪽❝평어는 '이름 호칭+반말'로 이루어진 새로운 한국말이다.❞│이성민, 『말 놓을 용기』❝나는 1970년대에 개인 저널리즘이라는 장르의 글을 쓰는 작가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비비언 고닉, 『상황과 이야기』❝솔직히 말하면 나는 단편을 쓰기 싫어한다.❞│옥타비아 버틀러, 『블러드차일드』❝내가 그리고 싶은 풍경은 떠나간 이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오랜만에 함께 모여 먹고 마시고 웃고 떠들고 구석에선 고스톱으로 밤을 지새우는 그런 장례식이다.❞│한승태, 『어떤 동사의 멸종』❝커먼즈는 함께 섞고 나누는 활동, 즉 커머닝(공통 .. 2025. 2. 28. 2024년 하반기 <문학의 곳간> 작게 작게 열며 책과 나를, 글과 말을, 그때와 지금을 이어보는 2024년 하반기 안내합니다. 무척 더웠던 여름을 지나 가을부터 내년 겨울까지 다섯 갈래를 하나로 엮은 책 꾸러미와 함께 이야기를 펼쳐보려 합니다. "저는 아무 소리도 내지 않고 접시를 내려놓을 수 있어요." ⏤희정, 『베테랑의 몸』 "검은 새 하나가 쇠사슬에 매달린 저울추처럼 땅이라는 접시 위에 오롯이 놓인 세상과 무게를 겨누며 높아지고 낮아지기를 반복한다." ⏤김숨, 『잃어버린 이름』 "노동 계급 청년들의 삶을 기록하고 싶다는 욕망을 느낀 것은 개인사와 지적 호기심 덕분이었다." ⏤제니퍼 M. 실바, 『커밍 업 쇼트』 "귀 기울여야 들리는 소리는 마침내 이야기가 된다." ⏤팀 잉골드, 『조응』 "나는 악수가 있는 영화를 만들 수 있기를 .. 2024. 9.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