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4

존재론-비평론-공동체론이라는 보로메오 고리―김영민,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한겨레출판사, 2011) 사람들은 그를 기다리고 있다. 그의 친구[동무]들은 그를 기다리고 있다. 그의 적들도 그를 기다리고 있다. ―롤랑 바르트, (김웅권 옮김, 동문선, 2006, 41쪽. [ ]는 인용자 삽입) ‘안다는 것’은 필시 ‘비용’을 요구한다. 그 비용이란 앎에 다가서기 위해 행한 ‘나의 노력’ 따위들만으로는 치를 수 없는 성질의 것인데, 그것의 요체는 바로 ‘돌이킬 수 없다는 사실’에 있다(“좋든 나쁘든, 안다는 것은 ‘돌이킬 수 없는’ 짓이다.”*). 이 돌이킬 수 없음은 비단 ‘앎’의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어휘의 문제와도, 생활양식의 문제와도, 공동체의 문제와도, ‘새로운 의욕’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일 수밖에 없다. 김영민의 글을 ‘읽는다는 것’ 또한 ‘돌이킬 수 없는 것’에 가깝다.. 2011. 8. 27.
일요일 아침 자다깨어 범죄의 전말을 실토해야하는 취조실의 용의자처럼, 그럼에도 결코 '전말'을 진술할 수 없는, 그러나 '전말'을 구축할 수 없는 바로 그 사실이 그가 범인임을 알려주는 결정적인 증거가 되는 '취조실의 구조' 속에서 떠올린 몇 마디의 생각, 골절된 생각, 떨어지지 않고 너덜거리는 생각, 아직 아무 것도 아닌, 그러나 거의 전부인 바로 그 생각, a. '삶의 반경'이란 선택지의 다양함이나 물리적인 공간의 확장 유무를 가리키는 것이라기보다 '지속력'을 통한 '자기 확신'(늘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자기 확신은 자기 확장과 이어진다)의 정도를 의미한다. 문제는 얼마나 더 집중할 수 있느냐이고 얼마나 더 많은 에너지를 투여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늘 만나는 사람들과 어떤 이야기를 '더' 나눌 수 있느.. 2011. 7. 24.
범일동(4) 범일동 공구상가(2008) 2011. 7. 20.
Lo-culture: 남은 어떤 것 어떤 이름을 만들고 그 름을 부르기 위해 오랜 시간 암중모색의 시간을 거치는 사람들과 수년간 함께 공부하며 징글맞게 부대끼며 생활하고 있다.* 나는 나밖에 모르는 사람이지만 그들의 인내로, 그들의 호의로(lo), 나는 오늘도 무사하다. 그 무사의 부채를 언젠가는 갚을 수 있을 거란 오만한 생각보다는 '비평'의 방식으로 돌려주는 것이 온당한 주고 받음일 것이다. 내가 비평가일 수 있다면 바로 '그 호명'에 얼마나 결정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는 것일 테다. 낮은 자리에(low) 남아 있는 어떤 것(culture)이란 바로 스스로가 서 있는 지반을 살피고(그것은 곧 '관계 양식'을 돌아보는 것이다) 지금껏 자신이 해왔음에도 여전히 무엇을 하고 있는 알지 못하는 아둔한 '자아'와 대면하는 것이다. 그.. 2011. 7. 13.
떨림과 견딤 1. 긴 시간 비가 왔고, 나는 내내 빗소리를 들었다.* 구경하고, 듣기만 했다. 운동화는 젖지 않았다. 열어둔 창문으로 빗방울이 들어와 재본한 책들이 흠뻑젖어버렸다. 그쪽에 머리를 놓아두고 잤던 나 역시 젖었을 테지만 어쩐 일인지 깨지 못/않고 내내 잠만 잤다. 연구실에 습기가 가득하다는 사실을 조미김을 먹으면서 알았다. 밥을 먹기 시작한지 10분도 되지 않았는데 방금 뜯은 김이 금새 눅어져버렸다. 내게 연구실이 덥지 않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에어콘을 한번도 틀지 못한 이번 여름동안 덥다고 느낀 적이 거의 없었던 거 같다. 그게 내 문제다. 김이 놀라울정도로 빨리 눅어버리는 것을 보고 연구실에 습기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된 것. 2. 무더위와 무관하게 좀처럼 적응하기 힘든 시절이다. 내게 쏟아지는.. 2011. 7. 11.
어떤 편지, 그리고 어떤 보병 뒤늦게 받은 답장. 그러나 나는 그곳에 없었다. _시인 진은영으로부터 2011. 7. 5.